본문 바로가기

✔️[ClickUp] 2. ClickUp 기본 구조 완벽 이해하기 본문

생산성/2. ClickUp

✔️[ClickUp] 2. ClickUp 기본 구조 완벽 이해하기

시간이없다는건핑계 2025. 4. 11. 14:25
반응형

반응형

태스크부터 리스트, 보드 뷰까지 흐름 한 번에 정리

ClickUp을 쓰면서 가장 먼저 헷갈리는 것 중 하나는
**“이 안에서 뭘 먼저 만들고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모르겠다”**는 점이다.

이번 글에서는 ClickUp의 핵심 개념인
태스크(Task), 리스트(List), 보드(Board), 뷰(View) 등을
실제 사용 흐름 중심으로 명확하게 정리한다.


1. 기본 구조 핵심: 태스크 중심으로 설계된다

ClickUp의 모든 기능은 **태스크(Task)**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.
하나의 할 일을 생성하고 → 상태를 변경하고 → 주기를 설정하며
필요에 따라 문서나 파일도 첨부한다.

구성요소역할
Task 하나의 단일 업무 또는 해야 할 일
Subtask 태스크 안에서 쪼갤 수 있는 세부 작업
Checklist 태스크 내부의 체크포인트
Comment 커뮤니케이션 공간

예:
[Task] 블로그 글 작성
→ Subtask: 제목 기획 / 초안 작성 / 대표 이미지 제작
→ Checklist: Grammarly 확인 / 링크 정리

📌 포인트:
태스크는 개별 실행 단위이고, 반복 가능하며, 담당자/기한/우선순위 지정이 가능하다.


2. 리스트(List): 태스크를 관리하는 기본 단위

태스크들이 모이는 공간이 바로 리스트다.
업무를 카테고리로 정리하고 싶은 경우, 리스트로 분류하면 된다.

예시:

  • 콘텐츠 제작 리스트
  • UX 개선 리스트
  • 1인 작업 루틴 리스트

→ 리스트마다 다른 뷰를 적용하거나 자동화를 설정할 수 있다.


3. 폴더(Folder)와 스페이스(Space)의 역할

  • Space: 팀 단위 업무영역
    예: 마케팅팀, 개발팀, 퍼스널 스페이스
  • Folder: 세부 프로젝트 구분
    예: "2025 마케팅 캠페인", "유튜브 채널 운영"
  • List: 태스크들이 실제로 작성되는 공간
    예: “인스타 콘텐츠”, “유튜브 스크립트 작성”

이 구조를 잘 활용하면 업무 분리 + 협업 명확화 모두 가능하다.


4. 뷰(View): 같은 리스트를 여러 방식으로 보여주는 도구

ClickUp의 진짜 강점은
하나의 리스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동시에 볼 수 있다는 것이다.

뷰 종류특징추천 상황
List 뷰 엑셀처럼 보기 많은 항목을 세로 정렬하고 싶을 때
Board 뷰 칸반 형태 상태별 진행 흐름 관리 (To-Do → 진행 중 → 완료)
Calendar 뷰 날짜 기준 정리 데드라인 기반 스케줄 관리
Gantt 뷰 종속성/스케줄 흐름 관리 PM, 로드맵 시각화
Table 뷰 고급 속성 관리 Custom Field 기반 테이블 사용

📌 하나의 리스트 안에서도 2~3개 뷰를 동시에 만들어두고
필요할 때마다 전환해서 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.


5. 추천 구조 예시 (1인 사용자 기준)

Workspace: 개인 계정

→ Space: 나만의 업무 공간  
→ Folder: 콘텐츠 관리 / 사이드 프로젝트 / 루틴  
→ List: 블로그 작업 / 유튜브 아이디어 / 운동 루틴  
→ Task: 썸네일 제작 / 회의록 정리 등

 

✔ 각 리스트별로 List + Board + Calendar 뷰를 조합해 사용

 

마무리 요약

용어설명
Task 가장 기본이 되는 할 일 항목
List 태스크가 모여 있는 목록
Folder 프로젝트 단위 분류
Space 업무 영역 or 팀 단위 구분
View 같은 리스트를 여러 방식으로 보기

ClickUp은 처음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
한 번 구조를 세팅해두면 체계적으로 업무를 정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.

반응형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