✔️[ClickUp] 3. ClickUp 프로젝트 구성 이렇게 시작하세요 본문
스페이스, 폴더, 리스트 구분과 실무 맞춤 업무 분류 전략
ClickUp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
**‘업무를 어떻게 나눌 것인가’**에 대한 구조 설계가 가장 중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프로젝트 생성 기준과 스페이스 / 폴더 / 리스트 구조를 어떻게 구성해야 효율적인지
실무 기준으로 정리합니다.
1. 프로젝트 시작 전 반드시 정할 것
ClickUp에서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무작정 태스크부터 만들기보다,
아래 3가지 기준을 먼저 정해야 합니다:
- 업무 주체가 누구인가 (나만 / 팀 / 외부 협력)
- 기간이 명확한가 or 상시 업무인가
- 프로세스가 정해져 있는가 / 유동적인가
📌 이 기준에 따라 프로젝트 단위 vs 업무 흐름 단위로 구분하게 됩니다.
2. 스페이스(Space)는 ‘업무 영역 단위’로 나눈다
스페이스는 ClickUp에서 가장 큰 분류 단위입니다.
보통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나누면 됩니다:
팀/조직별 | 마케팅, 개발, 디자인, 경영지원 |
업무 분야별 | 개인 루틴, 사이드 프로젝트, 클라이언트 작업 |
프로젝트별 | 특정 캠페인, 제품 출시, 전시 기획 등 |
📌 TIP
많은 업무가 들어올 예정이라면 스페이스를 소규모로 유지하고, 폴더로 세분화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.
3. 폴더(Folder)는 프로젝트 단위로
폴더는 스페이스 안에서 업무 흐름이나 주제를 나눌 수 있는 단위입니다.
기간이 있는 단기 프로젝트 | 2025 상반기 캠페인 |
정기 업무 흐름 | 월간 뉴스레터 제작 |
외주별 클라이언트 | Client A / B / C |
→ 한 폴더 안에 여러 리스트를 만들 수 있으므로
계획 – 실행 – 피드백 단계를 한 공간 안에 담는 것도 가능합니다.
4. 리스트(List)는 실제 실행 단위
실제로 태스크(Task)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곳이 리스트입니다.
리스트는 하나의 업무 흐름 /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분리합니다.
콘텐츠 아이디어 수집 |
유튜브 편집 진행상황 |
회의록 정리 |
버그 리포트 관리 |
✔ 리스트 단위로 뷰(View)를 각각 지정 가능 → 업무별 특화된 화면 구성 가능
5. 실무 예시: 마케팅 팀 구조 설계
[Space] 마케팅팀
├── [Folder] 콘텐츠 캠페인
│ ├── [List] 블로그 콘텐츠
│ ├── [List] 유튜브 콘텐츠
├── [Folder] SNS 운영
│ ├── [List] 인스타그램
│ ├── [List] 페이스북
├── [Folder] 시장 조사
│ └── [List] 설문 수집
│ └── [List] 인사이트 정리
→ 각 List에 태스크를 넣고, 보드뷰 / 캘린더뷰를 설정
→ 자동화도 폴더별로 적용 가능
6. 개인 사용자 기준 예시
[Space] 개인 생산성 관리
├── [Folder] 데일리 루틴
│ ├── [List] 아침 루틴
│ ├── [List] 업무 시작 전 준비
├── [Folder] 사이드 프로젝트
│ ├── [List] 블로그 운영
│ ├── [List] SNS 콘텐츠
→ 반복 작업, 시간 기록, 진행률 체크까지 통합 가능
마무리 요약
스페이스 | 팀/업무 구분 | 큰 카테고리 단위 |
폴더 | 프로젝트/프로세스 단위 | 유사 업무 묶기 |
리스트 | 실행 목록 | 카테고리별 할 일 나누기 |
ClickUp은 구조 설계 단계에서 업무의 효율성이 결정됩니다.
처음부터 잘 설계하면 관리도, 협업도 훨씬 수월해집니다.
'생산성 > 2. ClickU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✔️[ClickUp] 6. ClickUp 실무 최적화: 반복 업무 자동화 + 알림 전략 (0) | 2025.04.11 |
---|---|
✔️[ClickUp] 5. ClickUp 단순 체크리스트가 아닌, 시스템 기반 To-Do 리스트 만드는 법 (0) | 2025.04.11 |
✔️[ClickUp] 4. ClickUp 리스트 vs 보드 vs 캘린더 뷰 (0) | 2025.04.11 |
✔️[ClickUp] 2. ClickUp 기본 구조 완벽 이해하기 (0) | 2025.04.11 |
✔️[ClickUp] 1. ClickUp 시작 가이드 (0) | 2025.04.11 |